본문 바로가기
건강 이야기

피해야 할 발암 물질 총 정리 해드립니다.

by 멘탈비젼 2023. 9. 21.

발암 물질!! 왜 이렇게 많은 걸까요?

하루가 멀다 하고 우리가 쓰는 제품이나 음식에 포함된 성분이

발암 물질이라는 뉴스를 접합니다. 

 

담배도 안피웠는데 폐암에 걸리는 사람들

이런 발암물질때문이랍니다.

 

그래서 다 기억하기도 힘든 발암 물질 한번 정리해 봤습니다. 

 

혹시 내 주변에 이런 물질이 있는지 한번 체크해 보세요.

 

발암 물질 담배와 술

발암 물질이란?

 

발암물질이라는 용어는 살아있는 유기체에서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진 물질 또는 작용제를 의미합니다.

발암물질은 화학물질, 물리적 인자, 생물학적 인자, 생활습관 요인 등

다양한 형태로 발견될 수 있습니다. 

 

발암 물질 총정리

 

담배 연기

담배, 시가, 파이프 담배 등을 피우는 것은

폐암,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방광암

다양한 암의 주요 원인입니다.

알코올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을 포함한 여러 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자외선(UV) 방사선

태양이나 선탠 침대에서 나오는 UV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흑색종, 편평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포함한 피부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석면

석면 섬유는 흡입 시 폐암과

중피종(폐 및 기타 기관의 내벽에 발생하는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로 단열제로 많이 쓰이는데 

과거에는 토스터나 헤어드라이기에도 단열로 쓰였답니다.

석면 규제 전에 지어진 건물에는 벽체나 지붕의 단열재

파이프 단열 등으로 사용되었고 

자동차 브레이크 라이닝 등에 쓰였답니다.

 

발암 물질 유출 환경 오염

비소

오염된 식수나 특정 산업 공정을 통해

비소에 노출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피부암, 폐암, 방광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벤젠

휘발유 및 다양한 산업 제품에서 발견되는 화학 물질인

벤젠은 백혈병 및 기타 혈액 관련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청소용품이나 소독제 등에 쓰이기도 하고

페인트 용매로도 사용되므로 꼭 환기에 주의 하시고

사용하셔야 할 듯 합니다. 

 

포름알데히드

샴푸, 화장품, 매니큐어와 같은 일부 개인 관리 제품에는

포름알데히드 방출 화학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장기간 자주 사용하면 암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강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포름알데이히드 포함된 일상품방향제  바로보기

 

인유두종바이러스(HPV)

 

HPV의 특정 계통은 자궁경부암과 기타 생식기암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HPV 백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형 및 C형 간염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감염은

간암(간세포 암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방사선

 

엑스레이, 감마선 등의 이온화 방사선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백혈병, 고형 종양 등

다양한 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PAH는 까맣게 탄 음식이나 구운 음식, 나무나

기타 유기 물질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연기에서 발견됩니다.

이는 폐암, 피부암, 방광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라돈 가스

라돈은 땅을 통해 집과 건물에 스며들 수 있는

방사성 가스입니다.

라돈에 장기간 노출되는 것은 폐암의 중요한 위험 요소이며,

특히 라돈 수치가 높은 지역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아플라톡신

 

발암 물질 땅콩 아플라톡신

아플라톡신은 땅콩, 옥수수, 콩과 같은 작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특정 곰팡이에 의해 생성되는

자연 발생 독소입니다.

아플라톡신으로 오염된 식품의 섭취는 간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디젤 배기가스

디젤 엔진 배기가스에는 미립자 물질과

다양한 탄화수소를 포함한 화학물질의 혼합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디젤 배기가스에 대한 직업적 노출은 폐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디젤-발암물질
출처 질병관리청

 

가공육

베이컨, 소시지, 핫도그, 델리미트 등의 가공육에는 방부제로서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고기를 고온에서 조리하거나 가공할 때 발암 물질로 알려진

니트로사민이라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가공육을 특히 대장암의 경우

1군 발암물질로 분류했습니다.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는 널리 사용되는 제초제이며

잠재적인 발암성에 대한 논쟁이 있어 왔습니다.

국제암연구소(IARC)와 같은 일부 조직에서는

글리포세이트를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한 반면

다른 조직에서는 다른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호르몬 대체 요법(HRT)

일부 형태의 호르몬 대체 요법, 특히 폐경기 여성에게 사용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 조합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전자담배(전자담배 또는 베이핑)

전자담배는 상대적으로 새로운 것이지만,

전자담배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에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잠재적으로 폐암과 구강암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아크릴아마이드

 

발암 물질 튀긴 감자

아크릴아마이드는 감자나 빵과 같은

딱딱한 음식을 튀기거나 굽는 등 특정 고온 조리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화합물입니다.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분류되었지만

인체에 대한 위험성은 아직 연구 중입니다.

 

퍼클로로에틸렌(PCE)

PCE는 드라이클리닝 및 탈지 작업에 사용되는 용제입니다.

PCE에 대한 장기간 직업적 노출은

방광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오염된 물이나 납 성분 페인트를 통해 납에 노출되면

암 위험 증가를 비롯한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향족 아민

염료 및 고무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화합물인

특정 방향족 아민은 작업자가 이러한 물질에 높은 수준으로 노출될 경우

방광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에틸렌옥사이드

에틸렌옥사이드는 의료 장비 멸균 및 다양한 화학물질 생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작업장에서 높은 수준의 산화에틸렌에 장기간 노출되면

암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이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콜타르 및 콜타르 피치

 

발암 물질 콜타르 지붕 재료

콜타르와 그 파생물은 지붕재, 포장재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됩니다.

콜타르 제품과 장기간의 피부 접촉은

특히 이러한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 사이에서 피부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클로로포름

클로로포름은 다양한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화합물이자 용매로 사용됩니다.

동물 연구에 따르면 잠재적인 발암 물질로 분류되었지만

인간에 대한 위험성은 아직 조사 중입니다.

 

크롬(VI) 화합물

특정 형태의 크롬, 특히 6가 크롬(Cr(VI))은

특정 산업 환경에서 볼 수 있듯이

고농도로 흡입할 경우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카드뮴

종종 오염된 음식, 물, 담배 연기를 통한 카드뮴 노출은

폐암 및 전립선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메탄올

메탄올 노출은 산업 공정이나 불순물이 함유된 알코올음료 섭취를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메탄올 노출은 암, 특히 식도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프탈레이트

 

발암 물질 프탈레이트 방향제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 및 개인 위생용품 생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입니다.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특정 프탈레이트에 대한 노출이

유방암 발병 위험 증가와 연관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프탈레이트 포함된 일상품 방향제 성분 바로보기

 

염화비닐

염화비닐은 PVC(폴리염화비닐)를 포함한 특정 플라스틱 생산에 사용됩니다.

장기간 직업상 염화비닐에 노출되면

간암 위험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염화 비닐
출처https://blog.naver.com/wwedr92/222554289424 (성레스님 블로그)

 

니트로사민

니트로사민은 조리 또는 가공 중에 특정 식품,

특히 가공육에서 생성될 수 있는 화학 화합물입니다.

니트로사민의 섭취는 위암과 식도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젓갈류를 먹으면 위산과 만나 니트로사민을 만든다고 하니

조심해야 하는 성분이다. 

 

아질산염이 위산과 만나면 니트로사민으로 변한다고 하니

아질산염을 조심해야 겠네요.

 

벤젠, 톨루엔, 자일렌

이러한 방향족 탄화수소는 석유 제품에서 발견되며

높은 수준에 노출된 근로자의 백혈병 및 기타 암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알코올음료의 에탄올

적당한 알코올 섭취는 건강상 이점이 있을 수 있지만,

과도하고 만성적인 알코올 사용은 구강암, 인후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을 포함한 여러 암의 위험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방부제 및 인공 색소

가공 식품이 많이 함유된 식단은 특정 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관련 특정 화학 물질은 아직 연구 중입니다.

 

난연재

가구, 전자제품, 의류에 사용되는 일부 난연재는

잠재적인 발암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탤컴 파우더

탤컴파우더를 생식기 부위에 사용할 경우

난소암과의 잠재적 연관성이 연구되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가능한 연관성을 제안했지만,

확실한 연관성을 확립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오존

오존은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복사기, 프린터 등에서 많이 발생되며

고농도의 오존에 노출되면

입과 목등이 따갑고 호흡 곤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폐활량이 감소하는 폐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붉은 고기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를 포함한 붉은 고기를

많이 섭취하는 것은 대장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정확한 메커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고온에서 굽거나 튀기는 조리 방법

헤테로고리 아민(HCA) 및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를 비롯한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숯에 굽거나 구운 음식

 

발암 물질 햄버거

고기, 가금류 또는 생선을 화염이나 고온에서 조리하면

발암성인 HCA 및 PAH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위험을 줄이려면 고기를 굽기 전에 양념에 재우고,

조리 온도를 낮추고, 음식과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소금 보존 식품

소금에 절인 생선, 절인 야채 등 특정 소금 보존 식품에는

높은 수준의 소금과 아질산염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위암과 식도암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가당 음료

직접적인 발암 물질은 아니지만, 설탕 음료는

여러 유형의 암의 위험 요소인 비만과 관련이 있습니다.

설탕이 함유된 음료의 소비를 줄이면

더 건강한 생활 방식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인공 감미료

일부 연구에서는 사카린 및 아스파탐과 같은 특정 인공 감미료의

잠재적인 발암성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지만,

규제 기관에서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한도 내에서

이러한 인공 감미료를 섭취해도 안전하다고 밝혔습니다.

 

오염된 물과 해산물

 

발암 물질 해양 오염

일부 지역에서는 물과 해산물이 중금속(예: 수은),

폴리염화비페닐(PCB),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거나 의심되는

다이옥신과 같은 오염 물질로 오염될 수 있습니다.

현지 권고 및 지침을 따르면 노출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호르몬 교란을 일으키는 일상 용품도 꼭 확인하세요.

 

호르몬 교란 일상 제품 바로 보기

 

치약 성분 유해성 바로보기

 

샴푸 성분 유해성

 

방향제 리퓨저 성분 유해성 바로보기

 

 

가스레인지-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리는 결정적 원인

 

가스 레인지 -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리는 결정적 원인 - 건강 원펀치

가스 레인지가 무슨 폐암을 일으켜?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이 의외로 많답니다. 폐암은 주로 담배로 인한 흡연이나 간접 흡연 그리고 미세 먼지나 라돈 등의 방사선 물질에 의해서 많이 발생한

mindtrip.kr

 

건강한 생활을 위해

이상으로 발암 물질에 대해 알아봤는데...

그냥 둘러만 봐도 온통 발암 물질이네요. 

 

특정 직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은

특히 자신의 생활환경과 비교해서

주의 깊게 살펴보시고

우리가 매일 쓰는 일상 제품의 성분표 또한

제대로 확인하세요.

 

 

음식 조리 시에는 가능하면 발암 물질 생성을 줄이는 습관을

기르시는 것도 한 방법일 듯합니다.

 

현대 문명과 인간의 욕망이 끊임없이 만들어내는 발암물질!!

요리조리 잘 피해서 병원 신세는 안지는 걸로.